컴퓨터 작업 중에 화면이 자꾸 꺼져서 불편하셨죠?
중요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영상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화면이 어두워지면 정말 짜증나더라고요. 저도 처음에는 왜 이렇게 자꾸 꺼지는지 몰라서 답답했어요.
하지만 윈도우11에서는 간단한 설정 몇 번만 바꿔주면 화면이 원하는 시간 동안 켜져 있게 할 수 있어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마지막에 화면 보호와 절전 관련 알아두면 좋은 추가 정보도 알려드릴게요!
이 글에서 배우실 내용
- 윈도우11에서 화면 자동 꺼짐 시간을 쉽게 변경하는 방법
- 전원과 배터리 사용 시간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
- 화면을 아예 안 꺼지게 만드는 방법
화면 자동 꺼짐 설정 전에 알아두면 좋은 정보
윈도우11에서 화면 설정을 바꾸기 전에 몇 가지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는 정보가 있어요.
전원 연결 상태와 배터리 사용 상태의 차이
윈도우11은 똑똑하게도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와 배터리로 사용할 때를 구분해서 설정할 수 있어요.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정말 유용한 기능이죠.
- 전원 연결 시: 전기료 걱정 없이 화면을 오래 켜둘 수 있어요
- 배터리 사용 시: 배터리 절약을 위해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는 게 좋아요
화면 꺼짐과 절전 모드의 차이점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부분인데, 화면이 꺼지는 것과 컴퓨터가 절전 모드로 들어가는 건 다른 기능이에요.
- 화면 꺼짐: 디스플레이만 어두워지고 컴퓨터는 계속 작동해요
- 절전 모드: 컴퓨터 전체가 저전력 상태로 들어가서 작업이 일시정지돼요
권장 설정 시간
다음은 제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추천하는 설정 시간입니다.
사용 상황 | 전원 연결 시 | 배터리 사용 시 | 이유 |
---|---|---|---|
사무 작업 | 15-30분 | 5-10분 | 잠깐 자리를 비워도 화면이 유지되어 편리함 |
동영상 시청 | 1-2시간 | 30분-1시간 | 긴 영상도 중간에 끊기지 않음 |
게임 | 안 함 | 15-30분 | 게임 중 화면이 꺼지면 안 되므로 |
일반 사용 | 10-15분 | 3-5분 | 표준적인 사용 패턴에 적합 |
자, 이제 본격적으로 윈도우11에서 화면 자동 꺼짐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방법 1: 윈도우 버튼 선택하기
가장 먼저 윈도우 설정에 들어가야 해요. 화면 하단 작업 표시줄에서 윈도우 버튼을 찾아보세요.

화면 하단 작업 표시줄에서 윈도우 로고가 있는 버튼을 선택해주세요.
- 화면 맨 아래 작업 표시줄을 보시면 파란색 윈도우 로고가 보일 거예요
- 이 버튼을 마우스로 한 번 눌러주세요
- 시작 메뉴가 나타나면서 여러 앱들과 메뉴가 보일 거예요
- 키보드의 윈도우 키를 눌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윈도우 버튼을 누르면 시작 메뉴가 열리면서 설정으로 들어갈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나타나요.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안내해드릴게요.
방법 2: 설정 앱 찾아 들어가기
시작 메뉴가 열렸다면 이제 설정 앱을 찾아야 해요. 설정 앱은 톱니바퀴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쉽게 찾을 수 있어요.

시작 메뉴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앱을 선택해주세요.
- 시작 메뉴가 열리면 '고정됨' 섹션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찾으세요
- '설정'이라고 이름이 써있는 회색 톱니바퀴 아이콘이에요
- 이 아이콘을 마우스로 한 번 눌러주세요
- 만약 보이지 않는다면 상단 검색창에 '설정'이라고 입력해서 찾을 수도 있어요
설정 앱은 윈도우11의 모든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곳이에요. 한번 위치를 기억해두시면 앞으로 다른 설정을 바꿀 때도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어요.
방법 3: 시스템 메뉴 선택하기
설정 창이 열리면 여러 항목들이 보일 텐데, 여기서 '시스템' 메뉴를 찾아야 해요. 화면과 관련된 설정들이 모두 이곳에 모여 있어요.

설정 창 왼쪽에 있는 '시스템' 메뉴를 선택해주세요.
- 설정 창이 열리면 왼쪽에 여러 메뉴들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어요
- 맨 위쪽에 있는 '시스템' 메뉴를 찾아주세요
- 컴퓨터 모니터 같은 아이콘이 옆에 있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 '시스템'을 마우스로 한 번 눌러주세요
지금까지 읽어주신 분들을 위해 마지막에 화면 관리와 관련된 유용한 추가 정보를 준비했으니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방법 4: 전원 및 배터리 메뉴 들어가기
시스템 메뉴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여러 설정 옵션들이 나타나요. 여기서 '전원 및 배터리' 항목을 찾아야 해요.

오른쪽 설정 목록에서 '전원 및 배터리'를 선택해주세요.
- 시스템 메뉴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여러 설정 항목들이 나타나요
- 배터리 아이콘이 있는 '전원 및 배터리' 항목을 찾아주세요
- 이 항목을 마우스로 한 번 눌러주세요
- 전원 및 배터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전원 및 배터리 메뉴에서는 화면 시간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절전 설정도 함께 관리할 수 있어요. 노트북 사용자라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데도 도움이 되는 중요한 설정들이 여기 모여 있답니다.
방법 5: 화면 및 절전 모드 시간 제한 펼치기
전원 및 배터리 설정 화면에 들어오셨다면, 이제 화면 관련 설정을 찾아야 해요. '화면, 절전 모드, 최대 절전 모드 시간 제한' 항목이 바로 우리가 찾던 설정이에요.

'화면, 절전 모드, 최대 절전 모드 시간 제한' 오른쪽 끝에 있는 꺾쇠 버튼을 눌러주세요.
- 전원 및 배터리 설정 화면에서 조금 아래로 스크롤해주세요
- '화면, 절전 모드, 최대 절전 모드 시간 제한'이라는 긴 이름의 항목을 찾으세요
- 이 항목의 맨 오른쪽 끝에 있는 '>' 모양의 꺾쇠 버튼을 눌러주세요
- 누르면 세부 설정들이 펼쳐져서 보이게 됩니다
이 설정 항목이 바로 화면이 언제 꺼질지를 결정하는 핵심 메뉴예요. 여기서 원하는 대로 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서 정말 편리하답니다.
방법 6: 화면 꺼짐 시간 설정하기
이제 드디어 핵심 설정 부분에 도착했어요! 여기서 전원 연결 시와 배터리 사용 시의 화면 꺼짐 시간을 각각 설정할 수 있어요.

'다음 시간 이후에 내 화면 끄기' 부분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해주세요.
- '전원 연결됨' 섹션에서 '다음 시간 이후에 내 화면 끄기' 옆의 드롭다운 메뉴를 눌러주세요
- 현재는 '5분(권장)'으로 설정되어 있을 거예요
- 드롭다운을 누르면 여러 시간 옵션들이 나타납니다
-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거나 '안 함'을 선택할 수 있어요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는 전기료 걱정이 없으니 좀 더 긴 시간으로 설정하셔도 괜찮아요. 작업 패턴에 따라 15분, 30분, 1시간 등 자유롭게 선택하세요.
방법 7: 시간 옵션 선택하기
드롭다운 메뉴를 누르면 다양한 시간 옵션들이 나타나요. 여기서 자신의 사용 패턴에 맞는 시간을 선택하시면 돼요.

시간 목록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거나'안 함'을 선택해주세요.
-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45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등 다양한 옵션이 있어요
- 가장 아래에 있는 '안 함'을 선택하면 화면이 절대 자동으로 꺼지지 않아요
- 원하는 시간을 마우스로 한 번 눌러 선택하세요
- 선택하면 자동으로 설정이 저장됩니다
'안 함'을 선택하면 화면이 계속 켜져 있어서 편리하지만, 전력 소모가 많아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특히 노트북 사용자라면 배터리 소모를 고려해서 적절한 시간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아요.
방법 8: 배터리 사용 시 설정도 변경하기
전원 연결 시 설정을 마쳤다면, 이제 배터리 사용 시 설정도 함께 바꿔주는 것이 좋아요.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정말 중요한 설정이에요.

'배터리 사용' 섹션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화면 꺼짐 시간을 설정해주세요.
- 아래쪽에 있는 '배터리 사용' 섹션을 찾아주세요
- 여기서도 '다음 시간 이후에 내 화면 끄기' 옆의 드롭다운을 눌러주세요
- 배터리 절약을 위해 전원 연결 시보다는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해요
- 하지만 필요에 따라 '안 함'으로 설정하셔도 괜찮습니다
배터리 사용 시에는 화면뿐만 아니라 절전 모드 시간도 함께 고려하시는 것이 좋아요. 화면은 꺼지더라도 컴퓨터가 절전 모드로 들어가지 않으면 배터리가 계속 소모되거든요.
자주 묻는 질문
Q: 설정을 바꿨는데도 화면이 여전히 빨리 꺼져요.
A: 화면 보호기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어요. 바탕화면에서 우클릭을 눌러 '개인 설정'으로 들어가서 '잠금 화면' > '화면 보호기'를 확인해보세요. 또한 그래픽 드라이버의 전원 관리 설정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안 함'으로 설정했는데 모니터가 꺼져요.
A: 모니터 자체에 절전 기능이 있을 수 있어요. 모니터 설정 버튼을 눌러서 절전 모드를 끄거나, 모니터 드라이버를 확인해보세요. 일부 외장 모니터는 별도의 절전 설정을 가지고 있어요.
Q: 노트북 덮개를 닫았을 때 화면이 꺼지는 것도 설정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해요! 노트북 덮개를 닫았을 때의 작동 설정은 제어판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제어판'을 검색하여 '전원 옵션' 메뉴로 이동한 뒤, '덮개를 닫으면 수행되는 작업'을 선택하여 '아무 것도 안 함'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Q: 화면은 켜두고 싶은데 키보드나 마우스 불빛은 끄고 싶어요.
A: 키보드나 마우스의 LED 설정은 보통 해당 제품의 소프트웨어나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에서 설정할 수 있어요. 제조사별로 다르니 제품 매뉴얼을 참고하시거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전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설정하세요.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전원 연결 시와 배터리 사용 시를 구분해서 설정하면 더 효율적이에요
- '안 함'으로 설정하면 화면이 절대 꺼지지 않지만 전력 소모가 늘어나요
- 화면 꺼짐과 절전 모드는 다른 기능이니 각각 설정해주세요
- 게임이나 프레젠테이션할 때는 임시로 '안 함'으로 바꿔두세요
- 설정 변경 후에는 즉시 적용되니 별도 저장이나 재시작이 필요 없어요
마지막 보너스 정보! 화면 관리 고급 팁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약속드린 대로 화면 설정과 관련된 유용한 추가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화면 보호기 vs 화면 꺼짐의 차이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데, 화면 보호기와 화면 꺼짐은 완전히 다른 기능이에요.
- 화면 보호기: 예쁜 그림이나 애니메이션이 나타나면서 화면을 보호해요. 전력은 계속 소모돼요.
- 화면 꺼짐: 디스플레이 자체가 꺼져서 전력 소모를 줄여줘요.
요즘에는 화면 기술이 좋아져서 화면 보호기보다는 화면을 아예 꺼버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에요.
프레젠테이션이나 영상 시청 시 팁
프레젠테이션이나 영상 시청 시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일시적으로 화면 꺼짐 시간을 '안 함'으로 설정하거나, 윈도우 제어판의 '전원 옵션'에서 프레젠테이션 관련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윈도우 + P 단축키는 화면을 다른 디스플레이에 복제하거나 확장하는 기능이므로, 화면 꺼짐 방지와는 다른 기능입니다.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의 차이
- 절전 모드: 메모리에는 데이터가 남아있어서 빨리 복구되지만 약간의 전력을 계속 소모해요
- 최대 절전 모드: 모든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완전히 꺼져서 전력을 거의 소모하지 않아요
노트북 사용자라면 외출할 때는 최대 절전 모드를, 잠깐 자리를 비울 때는 절전 모드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아요.
그래픽 설정과 연동하기
게이밍 노트북이나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하신다면, 그래픽 드라이버 설정에서도 전원 관리 옵션을 확인해보세요. 때로는 그래픽 드라이버 설정이 윈도우 설정보다 우선 적용될 수 있어요.
이제 윈도우11에서 화면 꺼짐 시간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실 수 있을 거예요.
작업 효율도 높이고 전력도 절약하는 스마트한 컴퓨터 사용하세요!
'컴퓨터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바비디오(VivaVideo) 스마트폰 다운로드 - 사용 방법과 서비스 설명 (3) | 2025.08.17 |
---|---|
윈도우11 바탕화면 내PC(내컴퓨터) 아이콘 만들기 (4) | 2025.08.17 |
알캡처 프로그램 무료 다운로드 - 알캡쳐 단축키로 스크린샷 모자이크 글자삽입 (0) | 2025.08.16 |
댓글